달력

5

« 2024/5 »

  • 1
  • 2
  • 3
  • 4
  • 5
  • 6
  • 7
  • 8
  • 9
  • 10
  • 11
  • 12
  • 13
  • 14
  • 15
  • 16
  • 17
  • 18
  • 19
  • 20
  • 21
  • 22
  • 23
  • 24
  • 25
  • 26
  • 27
  • 28
  • 29
  • 30
  • 31

리눅스 설치 후에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정말 많을 것 입니다.


1. Network 설정


2. Local Time 설정


3. hostname 설정


4. nameserver 설정


5. firewall 설정


6. 보안 설정 (root 제한, 세션 제한, file open 제한...)


7. 기본패키지 설정(tcpdump, traceroute, unzip , OS package ....)


hostname 설정을 시작하려 합니다.


hostname을 변경하는 것은 정말 간단합니다.


우선 hostname이 무엇인지 확인해야 겠죠

친절하게도 바로 표시됩니다.


 [root@localhost ~]#


localhost가 Linux에서 설정된 기본 hostname 입니다.


또는 명령어를 이용하여 hostname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
[root@localhost ~]# cat /etc/hostname

localhost.localdomain

[root@localhost ~]#


localhost라고 표시되는 것 확인 되시죠?


이제 저 파일 속 내용을 변경하면 hostname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.


Command)vi /etc/hostname


 testserver


vi를 이용하여 명령어 dd로 첫행을 다 지우고, a or i 명령어로 원하는 내용을 입력한 후, 저장합니다.(vi 사용법을 굳이 적지 않겠습니다.)


저는 testserver라고 작성하였습니다.


이제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해 봐야겠죠?


Command) cat /etc/hostname


[root@localhost ~]# cat /etc/hostname

testserver

[root@localhost ~]# 


엥? 파일속의 내용은 변경되었지만, 정작 명령프롬프트의 localhost는 아직 변경되지 않을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
다시 원격 접속하거나, 계정을 변환해도 마찬가지 입니다.


그래서 reboot 합니다.


Command) reboot


다른 방법이 있다면,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ㅎㅎㅎ


하지만, hostname의 경우, 극 초반에 서버 구성할 때 작성하기 때문에, reboot하더라도 문제는 없을 듯 하긴 합니다.


번외)왜 hostname을 설정할까?


이 내용은 지극히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. 


1. 수많은 서버를 관리했을 때, 관리자가 어떤 서버에 접속해 있는지 헷갈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

->예를 들면, Webserver1, WebServer2, Webserver3.... DBServer1, DBServer2 ..... 이런게 많은 서버를 관리할 때, 혼동되지 않기 위한 장치


2. 네트워크 설정을 할 때, bond 처리를 위하여

->서버의 보안을 위하여 서버를 구성할 때, bond 처리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 bond 처리 시, network 설정 정보에도 hostname 정보를 기입하긴 하지만, 네트워크 상에서도 헷갈리지 않기 위하여 한다고 생각됩니다.





:
Posted by 아뭐라고